아이들은 어른들과는 달리 고열이 나면 위험할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아이들이 해열제를 길게 복용하는 일이 종종 있기에 해열제 교차복용에 대해 제대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해열제 언제 먹일까?
- 해열제를 교차복용하는 이유
- 해열제의 종류 및 교차복용하는 방법
해열제 언제 먹일까?
보통 38도가 넘어서게 되면 해열제를 남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굳이 아이가 힘들어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먹이지 않고 계속 체온을 체크해주다, 39도를 넘어서면서 아이가 힘들어한다면 그때 먹여도 충분합니다.
(물론 너무 어린 아기거나, 아이가 힘들어하거나, 특별한 병이 있는 경우라면 위험할 수 있으니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은 아이의 면역체계가 감염에 대응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라서, 고온의 열이 지속되는 것이 아닌데도 해열제를 남용하게되면 감염에 대응하는 면역체계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열제를 먹여 열에 대한 증상만 완화시킬 경우 병의 진단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저체온증에 걸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해열제를 교차복용하는 이유
1. 해열제의 효과를 증진
각각의 해열제가 다른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한가지 해열제만을 복용할 때보다 교차복용을 할 경우 조금 더 넓은 범위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긴 시간 해열 가능
아직 어린 아이들의 경우 해열제를 한번 복용하여 효과를 보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한가지 해열제만 먹일 경우보다 교차복용을 통해 조금 더 안전하게 짧은 텀으로 먹일 수 있습니다.
해열제의 종류 및 교차복용하는 방법
1. 해열제의 종류
해열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으로 나뉘어집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6개월 미만의 어린 아기도 복용이 가능합니다. 진통과 해열에 효과가 있으나 소염작용은 하지 않습니다. 1회 권장량을 4-6시간마다 복용하며, 하루 5회를 초과하면 안되며, 간독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너무 오랜기간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부프로펜과 덱시부로펜은 같은 계열의 약으로 진통, 해열, 소염에 효과가 있습니다.
덱시부로펜의 경우 병원에서 가장 쉽게 처방해주는 약 중 하나로 잘 듣는 약이라는 말을 듣는다면 덱시부로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가지 종류 전부 종류 별 1일 3회 이상 투여하거나,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해열제와 함께 미온수로 닦아주고, 차가워진 손발을 주물러주는 마사지도 도움이 됩니다.
2. 교차복용
덱시부프로펜은 이부프로펜 계열이므로, 크게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덱시부로펜)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해열제로 잘 해열되지 않을 경우, 다른 계열의 약을 2시간에 한번씩 번갈아먹일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자주 먹일 경우 오히려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으므로 아이가 너무 심하게 쳐지지 않을 경우는 조금 더 텀을 두어 먹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병원에서 가루약 형태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챔프 빨간색이 가장 많이 쓰는 편인데, 그 외에도 콜대원 보라색, 써스펜 좌약, 광동제약 내린다시럽 포도향이 있습니다.
이부프로펜은 챔프 파란색, 콜대원 주황색이 유명한데, 그 외에도 부루펜, 이부서스펜시럽 등이 있습니다.
덱시부로펜은 맥시부펜이 가장 유명한데 병원에서 자주 처방나오는 종류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 애니펜, 덱시탑 등이 있습니다.
어른들이 자주 먹는 타이레놀도 사실 주성분이 아세트아미노펜이므로, 열이 내리지 않아 다른 감기약을 먹을 경우 다른 감기약에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들어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야합니다. 따라서 교차복용법은 아이 뿐만이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필요한 방법이겠죠.
'살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를 상하지않게 보관하는 방법 (0) | 2024.07.04 |
---|
댓글